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컴프레셔 드라이어 토출 압력 저하 문제 해결 및 겨울철 대비 보온 대책 | 문제 조치 일지
    공장설비 유지보수 2025. 3. 3. 22:50

    🔍 문제 상황: 드라이어 토출 압력이 낮게 나오는 현상 발생

    최근 컴프레셔 드라이어에서 토출 압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점검한 결과, 날씨가 추워지면서 셔틀 밸브가 굳어버려, 출력으로 나가야 할 에어가 드레인(배출)되는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 우리 공장의 드라이어 운용 방식

    드라이어 2대를 교대로 운용하여 연속 가동

    그러나 두 대 모두 셔틀 밸브 동작 불량 문제 발생



    ---

    ⚙ 원인 분석: 왜 토출 압력이 낮아졌을까?

    ✅ 1) 셔틀 밸브 동작 불량

    기온이 낮아지면서 셔틀 밸브가 얼어붙어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해짐

    밸브가 열리지 않아 압축 공기가 제대로 토출되지 않고 드레인됨


    ✅ 2) 두 대의 드라이어에서 각각 다른 문제 발생

    1️⃣ 첫 번째 드라이어:

    아래 밸브는 정상 동작하지만, 위쪽 밸브가 얼어붙어 동작하지 않음

    해결 방법: 드라잉 에어량 조절 밸브와 드레인 솔레노이드 밸브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압력을 형성 → 밸브 정상 동작 유도


    2️⃣ 두 번째 드라이어:

    위쪽, 아래쪽 밸브 모두 얼어붙어 동작 불가

    해결 방법: 열전구(Heating Lamp) 사용하여 밸브를 녹여 정상 동작하도록 조치



    ---

    🔧 문제 조치: 셔틀 밸브 해동 및 정상 동작 유도

    🚀 ✅ 정비 조치 사항

    1️⃣ 첫 번째 드라이어 문제 해결
    🔹 드라잉 공기량 조절 밸브 및 드레인 솔레노이드 밸브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압력 형성
    🔹 생성된 압력을 활용해 셔틀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유도
    🔹 정상 작동 확인 후, 자동 모드로 복귀하여 지속적인 압력 유지 확인

    2️⃣ 두 번째 드라이어 문제 해결
    🔹 위·아래 셔틀 밸브 모두 얼어붙어 있어 열전구를 사용하여 녹임
    🔹 해동 후 밸브가 정상적으로 개폐되는지 점검
    🔹 정상 작동 여부 확인 후 시스템 재가동하여 압력 유지 상태 점검


    ---

    ❄️ 겨울철 대비 보온 대책 및 예방 조치

    겨울철이 되면 셔틀 밸브 및 공압 계통의 결빙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리 예방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보온재(Insulation) 적용

    셔틀 밸브 및 에어 배관에 보온재를 감싸서 단열 효과 강화

    발열 케이블(히팅 케이블) 설치하여 결빙 방지

    배관 및 밸브 보온재는 내열성이 좋은 소재(폴리우레탄, 고무 소재) 사용 추천


    ✅ 2) 공압 시스템 온도 유지

    드라이어 및 공압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 난방기 설치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관 및 밸브 동결 방지

    배관 주변에 온도 센서 설치하여 설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난방기 작동


    ✅ 3) 드레인 배출 시스템 개선

    드레인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수분이 남아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음

    자동 드레인 밸브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배수 라인을 보온 처리

    드레인 배출구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 추운 날씨에 얼지 않도록 위치 조정


    ✅ 4) 정기 점검 및 예방 유지보수 실시

    겨울철이 오기 전, 셔틀 밸브 및 주요 공압 부품 점검 및 윤활 처리

    에어 필터 및 드라이어 점검하여 수분 제거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주요 밸브 및 배관의 체결 상태 점검하여 공기 누설 방지



    ---

    🚗 결론: 드라이어 토출 압력 문제 해결 및 예방 조치 강화

    🔹 추운 날씨로 인해 셔틀 밸브가 얼어붙어 드레인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동하여 문제 해결
    🔹 수동 조작 및 열전구 활용을 통해 셔틀 밸브를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
    🔹 향후 겨울철 대비 보온재 설치, 드레인 배출 개선, 난방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예방 조치 필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