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OW-130 유량계 HMI 표시 오류 해결 방법 (배선 단선 문제 및 XGF-HO2A 모듈 점검)공장설비 유지보수 2025. 2. 26. 22:21
✅ 문제 현상:
FLOW-130 유량계에서는 유량을 정상적으로 계측하지만, 연결된 HMI 화면에는 유량이 표시되지 않음.
💡 원인:
FLOW-130 유량계의 펄스 출력 신호와 XGF-HO2A PLC 모듈 간의 배선이 단선되어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지 않았음.
🛠 해결 방법:
1. FLOW-130 유량계와 XGF-HO2A 모듈 간의 배선을 점검하여 단선된 위치를 발견함.
2. 단선된 부분을 새 전선으로 교체하여 연결을 복구함.
3. 정상적으로 유량이 HMI 화면에 표시되는지 확인 후 점검 완료.
---
FLOW-130 유량계와 XGF-HO2A 모듈의 원리 및 문제 해결 과정
1. FLOW-130 유량계와 XGF-HO2A 모듈의 작동 원리
FLOW-130 유량계: 파이프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을 측정해 펄스 신호로 출력함. 펄스 신호는 일정량의 유체가 흐를 때마다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유량을 계산함.
XGF-HO2A PLC 모듈: 디지털 입력 모듈로, FLOW-130의 펄스 신호를 수신해 PLC 프로그램이 이를 처리함. PLC는 유량 데이터를 HMI로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함.
유량계와 PLC 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은 배선에 의존하므로, 배선이 단선되면 HMI에는 유량이 표시되지 않음.
---
2. 문제 분석 및 해결 과정
1) 배선 점검
작업 전 차단기를 내려 안전을 확보함.
멀티미터를 사용해 배선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함.
FLOW-130 유량계의 출력 단자에서 XGF-HO2A 모듈의 입력 단자까지 배선을 따라가며 단선 여부를 확인함.
2) 단선 위치 발견
배선의 중간 지점에서 단선된 부분을 발견함.
단선의 원인은 배선의 피복이 손상되어 내부 도선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됨.
3) 단선 복구 작업
손상된 부분을 잘라내고 새 전선으로 교체하여 연결함.
접속부에는 절연 테이프와 열수축 튜브를 사용해 절연 처리함.
케이블을 케이블 덕트에 고정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
4) 시스템 재가동 및 테스트
전원을 복구한 후 FLOW-130 유량계가 정상적으로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지 확인함.
XGF-HO2A 모듈이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HMI 화면에 유량이 표시되는지 점검함.
최종 테스트 결과, HMI 화면에 실시간 유량이 정상적으로 표시됨을 확인함.
---
3. 해결 결과
FLOW-130 유량계와 XGF-HO2A 모듈 간의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복구됨.
HMI 화면에 실시간 유량이 정확히 표시되면서 공정의 모니터링과 제어가 원활해짐.
배선 손상의 원인을 점검하여 재발 방지를 위해 정기 점검 계획을 수립함.
---
4. 필요한 배경지식과 팁
FLOW-130 유량계의 펄스 출력:
펄스 출력은 일정량의 유체가 흐를 때마다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며, 펄스 수를 계산해 유량을 산출함.
신호의 정확성을 유지하려면 배선의 길이와 품질에 주의해야 함.
XGF-HO2A 모듈의 입력 설정:
PLC 프로그램에서 모듈의 입력 포트를 올바르게 설정해야 하며, 신호의 전압 및 주파수를 고려해야 함.
배선 단선 시 모듈의 입력 신호가 0으로 유지되므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면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음.
배선 점검 방법:
배선의 저항을 측정해 단선 여부를 확인하며, 멀티미터의 연속성(Continuity) 모드를 사용하면 더욱 빠르게 점검할 수 있음.
케이블 덕트를 사용해 배선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이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예방해야 함.
---
5. 마무리
이번 사례에서는 FLOW-130 유량계와 XGF-HO2A PLC 모듈 간의 배선 단선이 유량 미표시의 원인이었으며, 단선된 위치를 찾아 복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앞으로도 실제 업무에서 겪은 다양한 문제 해결 사례를 통해 독자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비슷한 문제를 겪으신 경험이 있거나 더 나은 해결 방법을 알고 계신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공장설비 유지보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KH-20 메카니컬 씰 교체 방법 & 원리 설명 | 문제 해결 일지 (0) 2025.03.05 🚀 컴프레셔 드라이어 토출 압력 저하 문제 해결 및 겨울철 대비 보온 대책 | 문제 조치 일지 (0) 2025.03.03 폐지 압축기 전원 차단기 고장 해결 – SSR(반도체 릴레이) 설치 방법 (0) 2025.03.01 ABB 파렛타이저 로봇 동작 오류 해결 방법 (그리퍼 실린더 센서 및 선형베어링 문제) (0) 2025.02.27 에어샤워 손소독기 오작동 원인과 해결 방법 (센서 감지 오류 및 알코올 누수 문제) (0) 2025.02.25